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delegate
- 효과음
- 장애물달리기
- 직렬화
- 람다식
- 유한상태머신
- ObjectPool
- c#
- 메서드
- Generic
- 자료구조
- UI
- 배열
- soundmanager
- 비선형자료구조
- script
- 스파르타내일배움캠프
- 스택
- skybox
- LINQ
- unity
- 코루틴
- BGM
- 프로그래머스
- 인터페이스
- invokec#events
- FSM
- 유니티
- inputsystem
- InputManager
- Today
- Total
목록유니티 (3)
Unity 개발일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08pIs/btsIQ2mJACC/btJ1jGDLT459tkAFKLf2ak/img.png)
[Behaviour Tree란?]간단히 말하면 Behaviour(행동)을 Tree 구조로 만들어 AI의 행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BT라고 줄여서 쓰기도 한다. Tree는 Node를 저장하는 하나의 컨테이너로Node는 int, float, string, char 등의 기본적인 타입을 저장하는 공간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Node는 사용자가 정의할 수 있는, 혹은 미리 정의된 모든 타입이 저장될 수 있다. 즉, Behaviour Tree의 Node 내부에 저장되는 것은 행동이라 말하는 코드조각들을 저장하는 것이다. Behaviour Tree에는 Tree의 Root역할을 하는 Task가 존재하며, 깊이 우선 순위(DFS)로 작업을 실행작업의 순서는 왼쪽에서 시작하여 -> 오른쪽 순서로 진행 1. 루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qeuyU/btsHYFzcOOH/hdLoYmYBfM7iOp5MkPuro0/img.png)
이제 싱글톤은 익숙하다! 싶은 분들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제네릭 싱글톤! 일반적인 싱글톤 패턴은 특정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하나만 존재하도록 보장하고, 어디서든 그 인스턴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 패턴이다. 싱글톤 패턴은 전역 변수와 유사하지만, 싱글톤 인스턴스는 다른 코드에 의해 덮어쓰지 못하도록 보호된다.Generic Singleton !!!제네릭이란 C++ 을 공부했던 사람들은 잘 아는 템플릿과 비슷한 개념이다.제네릭 싱글톤은 일반적인 싱글톤 패턴의 개념을 확장하여 다양한 유형의 객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네릭 싱글톤 클래스를 정의할 때 특정 유형의 객체를 지정하고, 이 클래스를 통해 해당 유형의 유일한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접근할 수 있습니다. 유니티에서 제네릭 싱글톤은 특정 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zSKuj/btsHnwKA2lb/OLYumY5uIH6GXd9zjliJm1/img.png)
우선 UI를 이용해 Image와 Button UI로 LoginScene을 하나 만들어주었다.참고로 UI는 Canvas에서 위에있는 쪽이 먼저 생성되어 아래쪽에 깔리게된다.플레이어 이름을 입력하는 칸은 InputField(TMP)이다. InputField를 만들게 되면 InputField와 자식오브젝트로 TextArea에 Placeholder, Text가 생성된다.InputField에는 OnEndEdit(String)부분만 나중에 Script작성 후 손봐줄 예정이고,Placeholder는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았을 시 Default Message를 입력할 수 있다.Text는 플레이어의 입력을 받아 출력해준다. Button을 이용할 것이기 때문에 SrartBtn 스크립트를 만들어주었고,TMP_InputFi..